← 블로그로 돌아가기

영화 감독처럼 세련된 영어 문장을 만드는 기술: 관계절 완전 정복

복잡한 아이디어를 명쾌하게 전달하는 언어 퍼포먼스 전략

에디터 이든(Aiden)
영화 감독처럼 세련된 영어 문장을 만드는 기술: 관계절 완전 정복

안녕하세요, YES 학생 여러분! 에디터 이든(Aiden)입니다.

영어 회화 실력이 중급 단계를 넘어 고급으로 도약할 때, 가장 큰 차이를 만들어내는 요소는 무엇일까요? 바로 문장을 이어 붙이는 방식의 세련됨입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말할 때, 단순한 문장만 나열한다면 의사 전달은 가능해도 문맥이 뚝뚝 끊기는 느낌을 줍니다. 예를 들어, "나는 한 남자를 만났어. 그 남자는 내 상사야. 그는 빨간 넥타이를 매고 있었어"라는 세 문장을, "빨간 넥타이를 매고 있는 그 남자는 내가 새로 만난 상사야"라고 한 문장으로 압축하는 능력. 이것이 바로 관계절(Relative Clauses)의 힘입니다.

여러분의 영어 퍼포먼스를 한 편의 영화처럼 유기적이고 설득력 있게 만드는 관계절 사용법을, 지금부터 영화 감독의 관점에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The Wide Lens: 필수 정보(Defining)와 추가 정보(Non-Defining) 구별하기

The Wide Lens: 필수 정보(Defining)와 추가 정보(Non-Defining) 구별하기

영화 감독은 모든 장면에서 무엇이 중요하고 무엇이 배경인지를 결정합니다. 관계절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문장에서 수식하는 명사(선행사)를 반드시 정의해야 하는 정보인지, 아니면 단지 보충 설명인지에 따라 관계절의 역할과 형태가 달라집니다. 이 역할을 구분하는 가장 큰 기준은 바로 **쉼표(Comma)**입니다.

1. 정의적 관계절 (Defining Relative Clauses): 필수 요소

이것은 문장에서 명사(선행사)의 의미를 필수적으로 한정하는 정보입니다. 이 관계절이 없으면 문장의 의미가 모호해지거나 오해를 낳을 수 있습니다. 쉼표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 예시: The student who received the highest score was offered a scholarship.
    •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학생—이 정보가 없으면 어떤 학생인지 알 수 없습니다)
  • 감독의 시선: 필수 소품입니다. 이 소품 없이는 스토리가 진행될 수 없습니다.

2. 비정의적 관계절 (Non-Defining Relative Clauses): 추가 요소

이것은 이미 선행사가 명확할 때, 추가적인 설명이나 배경 정보를 덧붙이는 역할을 합니다. 비정의적 관계절은 반드시 **쉼표(comma)**로 분리되어야 하며, 이 부분이 없어도 문장의 핵심 의미는 유지됩니다.

  • 예시: My coworker, who just moved from London, is an expert in data analysis.
    • (나의 동료는 이미 정의된 사람이며, 런던에서 왔다는 사실은 부가 정보입니다.)
  • 감독의 시선: 장면에 깊이를 더하는 배경 음악이나 아름다운 미장센입니다. 없어도 스토리는 이해되지만, 있으면 훨씬 풍부해집니다.

Casting Call: 'Who', 'Which', 'That'의 명확한 역할 부여

Casting Call: 'Who', 'Which', 'That'의 명확한 역할 부여

감독이 역할을 맡길 배우를 신중하게 고르듯이, 우리는 관계대명사를 선행사의 종류에 따라 정확히 '캐스팅'해야 합니다.

1. Who (주로 사람)

선행사가 사람일 때 주격 또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사용됩니다.

  • 주격 예시: She is the journalist who interviewed the CEO yesterday. (그녀는 어제 CEO를 인터뷰한 기자입니다.)
  • 목적격 예시: The man whom I met at the airport is a famous musician. (내가 공항에서 만났던 그 남자는 유명한 음악가입니다.)
    • (구어체에서는 whom 대신 who를 쓰거나 생략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2. Which (주로 사물)

선행사가 사물 또는 동물일 때 사용됩니다. Which는 Defining Clause와 Non-Defining Clause 모두에 사용됩니다.

  • Defining 예시: The new phone which was released last week is waterproof. (지난주에 출시된 그 새 전화기는 방수 기능이 있습니다.)
  • Non-Defining 예시: The project report, which took me all night to finish, received positive feedback. (밤새 걸려 끝낸 그 프로젝트 보고서는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았습니다.)

3. That (사람, 사물, 동물을 아우르지만 제한적 사용)

That은 Defining Clause(정의적 관계절)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며, 비정의적 관계절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That은 필수 정보를 담을 때 가장 자주 쓰이는 만능 관계대명사입니다.

  • 예시: I bought the dress that was on sale. (나는 세일 중이던 그 드레스를 샀다.)
  • 주의 사항: 쉼표가 있는 Non-Defining Clause에서는 절대로 that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는 감독이 정해 놓은 **'절대 금지 룰'**과 같습니다.

Cutting the Scene: 목적격 관계대명사의 생략

Cutting the Scene: 목적격 관계대명사의 생략

숙련된 감독은 불필요한 장면은 과감하게 잘라내어 템포를 살립니다. 관계절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문장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세련됨을 높이는 가장 좋은 방법은 목적격 관계대명사를 생략하는 것입니다.

목적격 관계대명사 생략 조건

관계대명사가 관계절 내에서 목적어 역할을 할 때만 생략이 가능합니다. 이 경우, 동사 바로 앞에 주어가 따라 나오므로 생략해도 문법적으로 모호해지지 않습니다.

형태예시 (원문)생략 후 (세련된 표현)
목적격 thatThis is the laptop that I ordered online.This is the laptop I ordered online.
목적격 whichThe novel which I read last week was amazing.The novel I read last week was amazing.
목적격 who/whomHe is the coach whom we all admire.He is the coach we all admire.

목적격 관계대명사가 생략된 문장은 구어체에서 매우 자연스럽고 유창하게 들립니다. 여러분이 YES 수업에서 영어를 말할 때, 이 '컷팅 기술'을 사용하면 훨씬 더 원어민 같은 퍼포먼스를 보여줄 수 있습니다.

  • 실전 예시:
    • (X) 딱딱한 표현: I want to watch the movie that you told me about yesterday.
    • (O) 세련된 표현: I want to watch the movie you told me about yesterday.

전치사 + 관계대명사 구문

관계대명사 앞에 전치사가 붙어 나오는 격식 있는 표현이 있습니다. 이 경우, 관계대명사 (which, whom)를 생략하거나 that으로 대체할 수 없습니다.

  • 예시: This is the manager with whom I discussed the issue. (이분이 제가 그 문제를 논의했던 매니저입니다.)

Location Scouting: 관계부사 (Where, When, Why)로 배경 설정하기

Location Scouting: 관계부사 (Where, When, Why)로 배경 설정하기

감독은 장소(Where), 시간(When), 이유(Why)와 같은 배경 설정을 통해 관객에게 풍부한 맥락을 제공합니다. 관계부사는 관계절을 활용하여 문장에 이러한 배경 정보를 매끄럽게 추가하는 역할을 합니다.

관계부사는 '전치사 +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대신하며, 문장을 훨씬 간결하게 만듭니다.

1. 장소 (Where)

선행사가 장소일 때 사용합니다.

  • 예시: I love the coffee shop where we first met.
    • (우리가 처음 만났던 그 커피숍을 좋아합니다.)
  • (참고: 전치사 + 관계대명사) I love the coffee shop at which we first met. (where가 훨씬 간결합니다)

2. 시간 (When)

선행사가 시간일 때 사용합니다.

  • 예시: I remember the moment when I heard the good news.
    • (나는 그 좋은 소식을 들었던 그 순간을 기억합니다.)

3. 이유 (Why)

선행사가 reason일 때 사용합니다.

  • 예시: I finally understand the reason why she resigned.
    • (나는 그녀가 사임한 이유를 마침내 이해합니다.)
    • (종종 reason이나 why 둘 중 하나를 생략하고 사용하기도 합니다: I understand why she resigned. 또는 I understand the reason she resigned.)

4. 방법 (How)

관계부사 how는 the way와 함께 쓰지 않으며, the way나 how 둘 중 하나만 사용합니다.

  • 예시: This is how I organize my study notes. (이렇게 제가 공부 노트를 정리합니다.)
  • 예시: This is the way I organize my study notes.

관계부사를 사용하면 두 개의 독립된 문장이 아니라, 시간과 공간의 맥락이 완벽하게 연결된 하나의 세련된 서술이 완성됩니다.


마무리하며: 여러분의 스크립트를 재구성하세요

관계절은 단순한 문법 규칙이 아닙니다. 그것은 여러분의 생각을 더 깊고, 더 명확하게, 그리고 궁극적으로 더 세련되게 표현할 수 있게 돕는 언어의 도구입니다.

오늘 배운 영화 감독의 시선을 기억하세요. 여러분의 문장에서 가장 중요한 **주연(선행사)**을 정하고, 관계절이라는 렌즈를 통해 필수 정보를 담거나(Defining), 추가적인 배경을 풍부하게 설명하거나(Non-Defining) 하세요. 불필요한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과감하게 생략하여 유창성을 높이세요.

YES 화상영어 수업에서 새로운 표현을 배울 때, 단순한 짧은 문장 나열이 아니라, 관계절을 활용하여 하나의 완성도 높은 스크립트를 완성해보세요. 여러분의 언어 퍼포먼스가 한 단계 업그레이드될 것입니다!